MVC 5

@ResponseBody

@ResponseBody 애노테이션은 Spring MVC에서 컨트롤러 메서드가 반환하는 값을 HTTP 응답 본문으로 직접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때 사용한다 주로 RESTful 웹 서비스에서 JSON 또는 XML 형식의 데이터를 반환할 때 사용된다@ResponseBody를 사용하면, 반환된 객체가 JSON 또는 XML 형식으로 변환되어 HTTP 응답 본문에 포함된다.  @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은 @Controller와 @ResponseBody를 결합한 것이다따라서 @RestController를 사용하면 메서드에 @ResponseBody를 명시적으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

IT/Spring 2024.12.03

Spring MVC 다중삭제

cart.html.. 선택 삭제 ...   ()   axios.delete 요청에서 배열을 쿼리 매개변수로 전달할 때, Spring MVC에서 이를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배열의 각 요소를 개별적으로 쿼리 매개변수로 전달해야 한다이를 위해 paramsSerializer를 사용하여 쿼리 매개변수를 올바르게 직렬화 할 수 있다/* = = = = = 다중 상품 삭제 = = = = = */document.querySelector('.button_del_checked_ite..

IT/Spring 2024.11.27

Thymeleaf

Thymeleaf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여 숫자를 형식화하고 HTML 요소에 값을 삽입하는 구문이 구문은 cart.price 값을 천 단위 구분 기호(쉼표)를 사용하여 형식화하고,그 값을 요소의 텍스트로 설정한다 Thymeleaf 표현식#numbers는 Thymeleaf의 유틸리티 객체로, 숫자 형식화를 위한 메서드를 제공한다formatInteger 메서드는 정수를 형식화한다첫 번째 인수: 형식화할 숫자 값 (cart.price). 두 번째 인수: 최소 자릿수 (1). 세 번째 인수: 천 단위 구분 기호 ('COMMA').

IT/Spring 2024.11.26

웹 개발 발전

- 1990년대 후반: 동적 웹의 등장- 초기 웹은 주로 정적 페이지로 구성되었으나, 1995년 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가 등장하면서 브라우저에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는 동적 웹 페이지 제작이 가능해졌다- 이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 페이지가 탄생.- 1995년에는 PHP와 MySQL 같은 서버 측 스크립트 언어와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하여 동적 콘텐츠 생성이 가능해졌고,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- 2000년대 초: 웹 2.0과 AJAX의 등장- 2000년대: 웹 2.0이라는 개념이 등장. 사용자 생성 콘텐츠, 소셜 네트워킹, 블로그, 위키와 같은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의 확산- AJAX(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)가 대두되면서 웹 페..

IT/IT 2024.10.15

Spring framework

- 웹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, 구조적인 패턴이 필요해졌다.-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이 MVC 패턴이다- MVC 패턴: Model-View-Controller의 약자로,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나눠 관리하는 방식이다.- Model: 데이터와 비즈니스 로직을 관리.- View: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(UI).- Controller: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, 적절한 Model과 View를 연결.- 이 패턴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이 크게 향상된다. Spring 프레임워크 >- 자바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,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확장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.- 그 중 가장 성공적인 프레임워크가 Spring이다- ..

IT/Spring 2024.10.14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