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IT

HTTP

iamhyeon 2024. 9. 30. 19:55

-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
-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

-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규칙을 정의

- HTTP는 클라이언트(예: 웹 브라우저)가 서버에 요청(request)을 보내고, 서버가 그 요청에 대한 응답(response)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

 

HTTP의 기본 동작 과정:
- 클라이언트 요청 (Request):

-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,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낸다

- 요청에는 메서드(GET, POST 등), 요청 URL, 헤더, 그리고 경우에 따라 본문(body)이 포함된다
- 서버 응답 (Response): 

- 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,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낸다

- 응답에는 상태 코드(예: 200 OK, 404 Not Found), 응답 데이터(HTML, JSON, 이미지 등), 그리고 응답 헤더가 포함된다

 

HTTP의 특징:
- 무상태성(stateless):

-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각 요청이 독립적이다

- 이전 요청의 정보를 기억하지 않는다

- 이를 보완하기 위해 쿠키나 세션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
- 텍스트 기반:

- HTTP 메시지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

 

HTTP와 HTTPS 차이:
- HTTP는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할 수 있다

- 반면, HTTPS는 HTTP에 SSL/TLS 암호화 계층을 추가하여 데이터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한다
- HTTP는 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표준화된 통신 방식이다

 


 

- HTTP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

- 웹 페이지나 API 요청 등에 사용된다

- HTTP의 주요 기능:
- GET: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요청.
- POST: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하기 위한 요청.
- PUT, DELETE 등: 자원의 수정 또는 삭제 요청.
- HTTP 예시:
-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가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 HTTP 요청을 서버에 보내고, 서버는 HTML 페이지를 HTTP 응답으로 돌려준다

 

- TCP/IP는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

- HTTP를 비롯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은 TCP/IP 위에서 동작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

- TCP/IP 프로토콜 스택은 네 계층으로 구성된다
- 애플리케이션 계층: HTTP, FTP, SMTP 등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하는 프로토콜.
- 전송 계층: TCP와 UDP 프로토콜이 속하는 계층으로,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(TCP)하거나 빠르게 전송(UDP)하는 역할을 한다
- 인터넷 계층: IP(Internet Protocol)가 속하는 계층으로, 패킷을 목적지까지 라우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: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.

 

- HTTP는 TCP/IP의 상위에서 동작하며, TCP/IP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반 기술로 작동한다

 

반응형

'IT >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indows 11 설치 미디어 만들기  (1) 2024.10.04
서버 클라이언트  (1) 2024.10.01
overflow  (0) 2024.09.13
API  (0) 2024.09.05
Chrome 확장 프로그램  (0) 2024.09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