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IT

GitHub

iamhyeon 2024. 8. 3. 12:21

< Git 클라이언트 설치 >

 

[ Windows ]

https://git-scm.com/

 

Git

 

git-scm.com

다운받은 파일로 설치

 

 

[ mac ]

터미널에서

xcode-select --install

< Git  전역설정 >

 

( $ : 명령 프롬프트에 입력하라는 기호 )     (메일은 예시)

 

사용자 정보 등록 
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hyeon"
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hyeon@gmail.com"

사용자 정보 제거

$ git config --unset --global user.name

사용자 정보 확인

$ git config --global --list


< 인증서 생성 >

 

SSH(Secure Shell Protocol) 를 사용해 Github의 repository에서 데이터에 엑세스하고 쓸 수 있다.

SSH를 통해 연결할 때 로컬 머신에서 프라이빗 키 파일을 사용해 인증한다.

 

PC마다 최초 1회만 수행하면 된다

ssh-keygen -t ed25519 -C "hyeon@gmail.com"

( 메일은 예시)

 

ssh-keygen :

SSH 키 생성 도구

사용자의 SSH 프로토콜을 위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한다.

 

-t ed25519 :

키 유형을 지정한다

ed25519 는 SSH 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대적이고 보안적인 알고리즘이다

RSA 알고리즘보다 더 짧은 키 길이를 제공하면서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한다

 

-C "hyeon@gmail.com" :

키에 주석을 추가하는 옵션

주석은 보통 키를 식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로 설정한다

주로 키를 관리할 때 어떤 키인지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

(선택사항)

 

=>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 홈 디렉터리 안에 .ssh 이름의 폴더가 생성되고,

그 안에 id_ed25519, id_ed25519.pub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된다.


< 인증서 GitHub에 등록 >

 

- GitHub 로그인 후, 우측 상단 계정 아이콘 >  「  Settings  」

- 좌측메뉴  >  Access  >  「  SSH and GPH Keys  」   >  우측 상단의  「  New SSH key 」

    - Title  :  ( SSH Key 등록할 PC )

    - Key type  :  기본값 두기

    - Key  :  id_ed25519.pub  파일 내용 복붙

 


< GitHub에 작업물 등록, 가져오기 >

 

git init
git branch -M main
git add -A
git commit -m "코멘트"
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주소
git push --force --set-upstream origin main

 

 

- 다른 PC 에서 github에 등록된 작업 가져오기

git clone 저장소주소

 

 

- 작업 내역 업로드 대기상태로 등록

git add -A
git commit -m "코멘트"

↑ 이 명령은 실제로 파일이 전송된 것은 아니다

업로드 대기상태로 등록하는 처리이므로 몇 번을 수행해도 이후 일괄 업로드가 된다.

git push origin main

업로드 대기상태의 내용들을 github에 전송하는 것.

 

 

- 다른 컴퓨터에서 push한 내용 내려받기

git pull origin main

다른 PC에서 push한 내용을 내려받는다

 


 

연결된 원격 저장소 확인하기

git remote -v

 


 

< 브랜치 Branch >

 

git checkout -b hyeon

 

깃 리포지토리 루트 디렉토리에서 위의 명령어 치면

 

  • git checkout : 특정 브랜치로 이동하거나, 브랜치를 새로 만들고 이동할 때 사용
  • -b :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(create branch)하라는 옵션
  • hyeon : 생성할 브랜치의 이름

 

 

  •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를 기준으로
    → hyeon 이라는 새로운 브랜치를 만듦
  • 곧바로 그 브랜치로 이동

 

 

git branch hyeon   # 브랜치 생성
git checkout hyeon # 생성한 브랜치로 이동

 

 

 

  • 지금 main 브랜치에 있다면:
    • hyeon 브랜치가 main을 기준으로 새로 생김
    • 이후 작업은 hyeon 브랜치에서 진행됨
  • 새 기능을 만들거나 버그를 고칠 때 보통 이렇게 브랜치를 딴다.
git checkout -b feature/login-api

 

 

 

Git 최신 버전에서는 git checkout 대신 git switch 명령을 권장한다

git switch -c hyeon

(-c 는 create의 약자 → -b와 같은 의미)

 

 

 


refer to

https://docs.github.com/ko/authentication/connecting-to-github-with-ssh/generating-a-new-ssh-key-and-adding-it-to-the-ssh-agent

https://velog.io/@alstn5038/Github-SSH-%EC%A0%91%EC%86%8D-%EC%84%A4%EC%A0%95%ED%95%98%EA%B8%B0

https://blog.hossam.kr/2022/02/14/%EC%BB%B4%ED%93%A8%ED%84%B0%ED%99%9C%EC%9A%A9-Github-%EA%B8%B0%EB%B3%B8-%EC%82%AC%EC%9A%A9-%EB%B0%A9%EB%B2%95/

https://choiiis.github.io/git/how-to-remote-project/

 

 

반응형

'IT >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SON  (1) 2024.08.21
Protocol 프로토콜  (0) 2024.08.04
Markdown 마크다운  (0) 2024.08.03
Window 기본 명령어  (0) 2024.07.27
*.iso *.dmg  (1) 2024.07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