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DLC 프레임 형식 중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?
1) 정보 영역
2) 제어 영역
3) 주소 영역
4) 플래그
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중 HDLC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.
- 특징
- 프레임 구조
- 데이터 전송모드
< HDLC(High-Level Data Link Control) 프레임 형식 >
- 비트 위주 프로토콜
- 각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흐름 제어, 오류를 검출하는 비트열을 삽입하여 전송
- Point-to-Point 및 Multi-Point, Loop 등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
- 단방향, 반이중,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한다
-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
- 오류 제어를 위해 Go-Back-N과 선택적 재전송 ARQ (Selective Repeat ARQ 사용)
- 흐름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방식 사용한다
- 투명성 보장을 위해 비트 스터핑 수행
- 비트 투과성: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비트 정보 전송할 수 있다
- 전송 효율과 신뢰성이 높다
- ISO에서 개발한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적용이 되는 국제 표준 프로토콜
< HDLC의 프레임 구조 >
플래그 - 주소부 - 제어부 - 정보부 - 검사부 - 플래그 |
| 플래그
-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고유한 비트
- 고유 비트 패턴 8bits (01111110)
- 혼선방지 위함
-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
| 주소부
- 송/수신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
| 제어부
- I-프레임 / S-프레임 / U-프레임
-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.
- HDLC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
1) 정보 프레임(Information Frame, I-프레임)
-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며,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
2) 감독 프레임(Supervisory Frame, S-프레임)
-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관리하며,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
3) 비번호 프레임(Unnumbered Frame, U-프레임)
- 링크 관리 및 제어 작업을 수행하며, 연결 설정 및 해제와 같은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
제어 영역의 비트 패턴에 따라 이러한 프레임의 종류가 결정된다
| 정보부
- 실제 정보가 들어가 있는 부분
| FCS (Frame Check Sequence field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)
- 프레임내용에 대한 오류검출의 위한 부분
- 주로 CRC (순환 중복 검사 : 다항식 코드 사용, 검출률이 가장 높음) 코드 사용
프로그래밍 언어 활용
25년 필기 1회차 1334번
답: 2) 제어 영역
refer to
'IT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필기] 은행가 알고리즘 (0) | 2025.02.08 |
---|---|
[필기] UDP (0) | 2025.02.08 |
[필기] RAID 구성방식 (0) | 2025.02.08 |
[필기] 옵티마이저 (0) | 2025.02.06 |
[필기] 네트워크 표준 (0) | 2025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