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) IPv6의 헤더 항목이 아닌 것은?
1) Flow label
2) Payload length
3) HOP limit
4) Section
IPv6 (Internet Protocol version 6)
- IPv6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
-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, 자료 전송 속도가 빠르다
- 인증성, 기밀성,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
- 주소의 확장성, 융통성, 연동성이 뛰어나며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
- 패킷 크기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패킷 크기에 제한이 없음
- 기본 헤더 뒤에 확장 *헤더를 더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해져 네트워크 기능 확장이 용이함
- 미리 예약된 알고리즘을 통해 고유성이 보장된 주소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음
헤더
- 패킷 전송 시 제일 앞에 배치되는 영역
- Version : IP 프로토콜의 버전
- Traffic Class : 패킷의 우선순위 및 QoS(Quality of Service)를 위한 것
- Flow Label : 특정 흐름의 패킷들이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전송되도록 하는데 사용
- Payload Length : 헤더 다음에 오는 데이터(페이로드)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
- Next Header : 다음에 오는 헤더의 타입 식별
- Hop Limit :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동안 각 노드에서 감소시키는 카운터
- Source Address (출발지 주소) : 송신자의 IPv6 주소
- Destination Address (목적지 주소) : 수신자의 IPv6주소
구성
- 16비트씩 8부분, 총 128비트로 구성
- 각 부분을 16 진수로 표현하고, 콜론(:)으로 구분
- IPv6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소 체계로 나누어짐
1) 유니캐스트(Unicast)
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(1대 1 통신)
2) 멀티캐스트(Multicast)
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(1대 다 통신)
3) 애니캐스트(Anycast)
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(1대 1통신)
프로그래밍 언어 활용
25년 필기 1회차 1286번
답: 4) Section
refer to
'IT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필기] CASE (0) | 2025.02.05 |
---|---|
[필기] '사용자 수준에서 지원되는 스레드'와 '커널에서 지원되는 스레드' (0) | 2025.02.04 |
[필기] CMMI 성숙도 (0) | 2025.02.04 |
[필기] 데이터 수집 관련 기술 (0) | 2025.02.04 |
[필기] OSI 7계층 (0) | 2025.02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