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)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항상 정보에 대한 보안문제가 대두되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암호화 방식이 사용된다.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?
- 암호화할 때는 하나의 키를 사용하고, 해독 과정에서 또 다른 키를 사용한다. - 망 내의 각 단말 시스템은 수신될 메시지의 암호화와 해독에 사용될 키의 쌍을 생성한다. - 암호화는 공개키를 사용하고 복호화는 개인키를 사용한다. |
1) DES
2) RSA
3) SEED
4) IDEA
정보시스템 구축관리
25년 필기 1회차 1715번
DES (Data Encryption Standard)
-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,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
- 현재는 키 길이가 짧아 보안성이 낮아져,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
RSA (Rivest-Shamir-Adleman)
-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,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사용한다.
-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개인키로 복호화하는 방식을 채택한다.
- 큰 수의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 점을 이용한다
- 전자서명, 키 교환, 데이터 암호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
- AES 등 대칭키 암호화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
SEED
- 한국에서 개발된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으로,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.
- 한국 표준 암호 알고리즘으로, 국내에서 널리 사용된다.
IDEA
-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, 이 역시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한다.
- DES보다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하며, AES가 등장하기 전까지 널리 사용되었다
- PGP(Pretty Good Privacy)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에서 사용되었다
- AES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사용된다
'IT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필기] 무선 전송 규격 (0) | 2025.02.02 |
---|---|
[필기] 데이터처리, 위치기반서비스, 소셜네트워크, 하드웨어 기술 (0) | 2025.02.02 |
[필기] 프로젝트의 추정과 계획을 위해 사용되는 기법 (0) | 2025.02.02 |
[필기] 통신 시스템 (0) | 2025.01.31 |
[필기] 페이지 교체 기법 (0) | 2025.01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