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) 객체지향 분석 기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?
- 미시적 개발 프로세스와 거시적 개발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한다.
- 클래스와 객체들을 분석 및 식별하고 클래스의 속성과 연산을 정의한다.
- 클래스와 객체들의 관계를 식별한다.
- 각 작업에 대한 다이어그램, 클래스 계층 정의, 클래스들의 클러스터링 작업을 수행한다.
- 클래스와 객체를 구현한다.
A) Booch 방법
- 미시적 개발 프로세스와 거시적 개발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하는 방법은 Booch 방법이다.
|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종류
< Rumbaugh 방법 >
-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객체지향 분석 기법
-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
- 럼바우의 분석 절차
- 객체 모델링 => 동적 모델링 => 기능 모델링
순서 | 분석 활동 | 내용 |
1 | 객체 모델링 | 객체 다이어그램 정보 모델링이라 표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객체를 찾고 객체들 간의 관계 정의 |
2 | 동적 모델링 | 상태 다이어그램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객체들 사이의 제어 흐름,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 |
3 | 기능 모델링 | 자료 흐름도 프로세스들의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 표현 |
< Booch 부치 방법 >
- 미시적 개발 프로세스와 거시적 개발 프로세스 모두 포함하여 사용
- 유스케이스를 강조하여 활용한 방법
- 클래스와 객체들을 분석 및 식별하고 클래스의 속성과 연산 정의
- 각 작업에 대한 다이어그램, 클래스 계층 정의, 클래스들의 클러스터링 작업을 수행한다.
- 클래스와 객체를 구현한다.
미시적 : 작은 부분을 중심으로 바라보는 관점
거시적 :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전체로 생각하는 것을 의미
< Code와 Yourdon 방법 >
- ERD를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
- 객체 식별, 구조 식별
- 객체의 속성과 동작을 정의하고, 객체 간 관계를 다루며 시스템을 분석
- 객체 모델링을 통해 시스템을 구조화하며, 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객체의 행동을 분석한다.
< Wirfs-Brock 방법 >
- 분석과 설계 간 구분이 없으며, 고객 명세서를 평가하여 설계 작업까지 연속적 수행
< Jacobson 방법 >
- Use Case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석하는 방법론
- 사용자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기능을 정의하고, 시나리오를 통해 객체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한다.
< Fusion 방법 >
- 여러 객체지향 방법론의 요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융합적 접근법
- 시스템을 분석할 때, 객체, 기능, 동적 모델을 결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을 수행한다.
- 여러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의 장점을 결합하려는 시도로, 복잡한 시스템 분석에 유용할 수 있다.
refer to
'IT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필기]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(0) | 2025.01.19 |
---|---|
[필기] 애자일(Agile) 프로세스 모델 (0) | 2025.01.19 |
[필기] 요구사항 검증 방법 (0) | 2025.01.18 |
[필기]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XP (0) | 2025.01.18 |
[필기] 요구사항 정의 및 분석·설계 (0) | 2025.0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