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데이터베이스 >
- 공유하여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집합
< DBMS >
- DataBase Management System
- 사용자가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및 구조를 명시할 수 있도록 하며,
-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, 수정, 삽입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하여
- 시스템의 고장이나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접근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
< MySQL >
- 1995년에 Michael Widenius와 David Axmark가 개발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주로 LAMP 스택(Linux, Apache, MySQL, PHP/Perl/Python)의 일환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사용됐다
- 2008년에 Sun Microsystems에 인수되었고, 2010년에 Sun Microsystems가 Oracle에 인수되면서 MySQL도 Oracle 소유가 되었다
- 일부 사용자는 Oracle의 상업화 우려로 MySQL에서 파생된 MariaDB로 전환하기도 했다
- 최근:
- 클라우드에서의 활용 증가: AWS RDS, Google Cloud SQL, Azure Database for MySQL 등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에서 많이 사용된다
- 오픈 소스 강화: MySQL과 비슷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MariaDB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,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진다
< Oracle Database >
- 1979년에 Oracle Corporation(당시 이름은 Relational Software Inc.)이 세계 최초의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출시했다
- 오랜 시간 동안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매우 안정적이고 고성능의 데이터베이스로 자리 잡아왔다
- 1990년대부터 PL/SQL과 같은 고급 기능을 도입하면서 개발자들에게 강력한 도구를 제공했다
- 최근 :
- 멀티 모델 DBMS: Oracle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JSON, XML,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처리할 수 있는 멀티 모델 DBMS로 진화하고 있다
- 클라우드: Oracle은 Oracle Cloud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, Autonomous Database와 같은 자율 운영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
< Microsoft SQL Server >
- 1989년에 Microsoft가 Sybase와 협력해 SQL Server 1.0을 출시한 것이 시작
- 1993년부터 Microsoft는 독립적으로 SQL Server를 개발하기 시작하며 Windows와의 통합성 및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발전해 왔다
- 주로 Windows 환경에서 사용되며, 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DBMS 중 하나이다
- 최근 :
- Azure와의 통합: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플랫폼과의 통합이 강화되었으며, Azure SQL Database와 Azure Synapse Analytics 등의 서비스로 확장되었다
- 리눅스 지원: 2017년부터 SQL Server가 리눅스에서도 지원되기 시작하며,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는 확장성을 갖추었다
< 최근 DBMS >
- 멀티 모델 DBMS: 한 가지 데이터 모델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, 관계형, 문서 지향, 그래프, 키-값 모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DBMS가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
- MongoDB, Oracle, PostgreSQL 등이 이런 트렌드의 선두주자이다
- 클라우드 기반 DBMS: 많은 기업이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우드에서 운영하고 있으며, AWS, Azure, Google Cloud와 같은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다양한 DBM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
- 자율 운영 DBMS: Oracle이 선도하는 자율 운영 데이터베이스처럼, 인공지능(AI) 및 기계 학습을 통해 자동으로 튜닝, 보안, 백업을 관리하는 자율 운영 DBMS가 등장하고 있다
- 데이터베이스 as a Service (DBaaS): 클라우드 기반 DBMS가 더욱 쉽게 배포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, 데이터베이스 서비스(DBaaS)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
- Google Cloud SQL, AWS RDS, Azure SQL Database 등이 그 예이다
- NoSQL과 관계형 DB의 경계 허물기: 관계형 DBMS에서도 JSON, XML, 그래프 등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도입하면서, 관계형 DB와 NoSQL DB 간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
< SQL >
- Structured Query Lanuguage
-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, 입력, 수정, 삭제 하는 등의 조작이나, 테이블을 비롯한 다양한 객체 ( 시퀀스, 인덱스 등 ) 를 생성 및 제어하는 언어
'IT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Database 구축하기 (1) | 2024.11.18 |
---|---|
MySQL 데이터베이스 관리 (3) | 2024.11.13 |
트랜잭션 Transaction (1) | 2024.10.08 |
데이터 입력, 수정, 삭제 (0) | 2024.10.07 |
SubQuery (0) | 2024.10.07 |